5,122대 전기자동차 대상 차등 보조금 지급
출산가정 위한 추가 지원 ‘아이조아 부산조아’ 도입
전기차 지역할인제 확대 운영 및 생계형 차량 지원 강화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5년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지원과 함께 출산가정을 위한 추가 지원 제도인 ‘아이조아 부산조아’를 전국 최초로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 제도는 전기차 구매 비용 부담을 경감하고 친환경차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다.
전기자동차 보조금 차등 지원
부산시는 상·하반기로 나누어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을 추진하며, 올해 상반기 지원 대상은 5,122대로 구성된다.
승용차: 3,770대
화물차: 1,200대
버스: 140대
어린이통학차: 12대
보조금은 차량 가격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최대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다:
승용차: 최대 810만 원
화물차: 최대 1,380만 원
어린이통학차: 최대 1억 2천만 원
출산가정 지원 ‘아이조아 부산조아’
부산시는 2024년 1월 이후 출산한 가정을 대상으로 승용 전기차 구매 시 첫째 자녀 출산 가정에는 100만 원, 둘째 이상 출산 가정에는 150만 원을 지원하는 ‘아이조아 부산조아’ 제도를 신설했다.
지역할인제 확대 시행
부산시는 지난해 도입한 ‘지역할인제’를 올해 더욱 확대해 시행한다.
부산시민이 참여업체에서 전기차를 구매하면 제조·수입사에서 최대 50만 원, 부산시에서 추가로 50만 원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2024년 기준, 1,066명의 시민이 혜택을 받았으며, 총 13억 8천만 원의 할인 효과를 거뒀다.
올해 지원 차량은 2,000대로 확대될 예정이며, 현대자동차, 이브이케이엠씨, 파츠몰에이투지가 상반기 참여를 확정했다.
생계형 전기차 지원 확대
전기택시 및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된다.
전기택시는 국비 250만 원 추가 지원
화물차 구매 소상공인은 국비 지원액의 30% 추가 지원
농업인 및 택배 차량은 10% 추가 지원
차상위 계층 및 생애 첫 전기승용차 구매자는 국비 지원액의 20% 추가 지원
단, 차량 구매 시 일부 사회보장 혜택(기초연금, 장애인연금 등)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어 신청 전 꼼꼼한 검토가 필요하다.
보조금 신청 절차
보조금 지원 신청은 2월 5일부터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가능하다.
신청자는 신청일 기준 60일 이전부터 부산에 주소지를 둔 만 18세 이상 시민이어야 한다.
전기차 구매 후 제작사·판매점을 통해 보조금 신청을 진행한다.
올해부터 거주 요건이 90일에서 60일로 완화되었으나, 재구매 제한 기간은 ▲승용차 2년 ▲화물차 2년으로 유지된다.
부산시의 기대와 목표
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 이병석은 “2024년 전기차 시장이 화재 및 경기 부진 등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부산만의 차별화된 정책으로 보급 확대에 성공했다”며, “올해도 다양한 지원 정책을 통해 친환경 교통수단 확산과 함께 출산·육아 친화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