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아방송 경인tv

방송이 국민으로부터 위임받는 신성한 의무이며, 방송인 모두가 지켜야 할 숭고한 사명을 다하고 있습니다.

신동아방송 경인tv 뉴스룸을 찾아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중기부, 연구인력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신동아방송 경인TV 2025. 1. 31. 13:05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1sYT9GZk15E

- 연구역량이 우수한 외국인 전문인력 매칭 및 R&D 연계 지원 본격화
 
- 공공연 연구인력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등 지원
 
- 학사 이상 연구인력 양성 후 딥테크 스타트업 등 채용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31() 2025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중소기업의 연구인력난 해소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인력의 채용, 파견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주된 지원대상은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이다.

 

채용 지원

 

중소기업이 학··박사 연구인력 채용시 정부가 연봉의 50%를 최대 3년간 지원한다.

 

특히, 내국인 연구인력을 구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을 위해 우수한 외국인 연구인력 매칭함께 지원한다. 중소기업이 K-Work 플랫폼(http://K-Work.or.kr)을 통해 구직 중인 외국인 연구인력고용계약을 체결하면, 중기부에서 비자추천을 통해 전문인력(E-7-1) 비자발급을 지원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131()부터 34()까지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파견 지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공공연구기관전문연구인력중소기업에 파견하여 기술애로 해결 등 업무를 수행하고, 정부는 파견인력 연봉의 50% 최대 3년간 지원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연구인력지원시스템(http://smtech.go.kr/region/rpms/main/main.do)을 통해 파견희망인력을 검색하여 지원받을 수 있으며, 연중 상시 신청 가능하다.

 

양성 지원

 

권역별로 선정된 연구인력혁신센터*를 통해 중소기업과 연구인력을 매칭하고 R&D과제 수행(2~4개월) 후 채용이 확정되면 R&D 과제비(최대 12백만원)6개월 이내로 지원한다.

 

* 호서대(충남권), 교통대(충북권), 창원대(경남권), 전북대(전북권) 4(’24.5월 선정)

 

올해는 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이라는 R&D 정책방향에 맞추어 초격차스타트업 1,000+프로젝트선정된 기업을 우선지원할 방침이다. 지원을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갖추고, 권역별 연구인력혁신센터로 신청하면 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3월중 권역별 연구인력혁신센터별 공고할 예정이다.

 

김우중 지역기업정책관은 글로벌 기술패권시대에 지역 중소기업에게 필요한 우수한 연구인력을 양성하여 공급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앞으로 중기부의 대표적인 지역특화프로젝트인 레전드50+프로젝트등 지역 및 첨단산업과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지원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촘촘히 지원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붙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 사업 개요

 

채용

 

지원대상

 

- (기업) 기업부설연구소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

 

- (인력) 신진연구인력- 39세이하 학사이상 학위 취득후 5년이내

고경력연구인력-학사 취득후 14, 석사 10, 박사 5년이상

(국내 석사 학위이상 보유한 외국인 연구인력 지원 가능)

 

지원내용 : 기업별 1명 연구인력의 연봉을 50%, 최대 3년간 지원

 

- 신진연구인력 : 기준연봉의 50%(학위별, 연차별 상이)

구 분 기준연봉 정부지원연구개발비(정부지원금)
1년차 2년차 3년차 1년차 2년차 3년차
학 사 3,200만원 3,500만원 3,800만원 1,600만원 1,750만원 1,900만원
석 사 4,100만원 4,500만원 4,900만원 2,050만원 2,250만원 2,450만원
박 사 5,000만원 5,500만원 6,000만원 2,500만원 2,750만원 3,000만원

 

- 고경력연구인력 : 연봉의 50%, 최대 50백만원

 

신규 지원규모 : 신진연구인력 240(레전드 50+프로젝트 할당 50)

고경력 연구인력 90(레전드 50+프로젝트 할당 50)

 

추진일정 : 공고신청접수(1.31~3.4) 선정(5) 및 협약체결(6)

 

- 사업설명회 개최(’25.2.11 14:00~16:00, 서울 AT센터5층 그랜드홀)

 

문의처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02-3460-9080, 9124, 9123, 9172)

 

파견

 

지원대상

 

- (기업) 벤처기업 또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경영혁신형 중소기

- (인력) 정부출연연구기관 소속 정규직 또는 기업지원연구직

지원내용 : 기업별 1, 연구인력의 연봉을 50%, 최대 3년간 지원

 

- 파견인력이 파견 중인 중소기업으로 이직하는 경우 최초의 지원 기간에서 3년을 연장 지원

 

신규 지원규모 : 30개사

 

추진일정 : 상시 신청접수(http://smtech.go.kr/region/rpms/main/main.do)

 

문의처 : 국가과학기술연구회(044-287-7386, 7239, 7240)

 

양성

 

지원대상

 

- (기업) 기업부설연구소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

- (인력) 학사(졸업예정자 포함) 학위 이상 연구인력

(국내 석사 학위이상 보유한 외국인 연구인력 지원 가능)

 

지원내용 : 양성에서 중소기업 취업까지 단계별 원스톱 지원

 

- (1단계) 중소기업과 연구인력(예정자) 매칭

- (2단계) 연구인력의 R&D프로젝트 기획 지원(인턴, 2~4개월)

- (3단계) 채용확정후 R&D프로젝트(최대 12백만원) 6개월이내 지원

- (연계지원) 우수한 R&D 성과 창출기업에 한해, 채용지원

 

신규 지원규모 : 연구인력혁신센터별 100명 양성, 40명 채용 지원

 

추진일정 : 연구인력혁신센터별 공고 3

 

문의처 : 권역별 연구인력혁신센터

 

- 국립창원대 : 055-213-2918, 2957

- 호서대 : 041-540-5369, 5379

- 전북대 : 063-270-3656, 219-5399

- 국립한국교통대 : 043-849-17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