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 소상공인 재도약까지…중기부-고용부 협력체제 강화
- 협업 협의체 공식 출범…실행 중심 과제 도출 및 지속 점검 체계 구축
- 인사교류 기반 협업 모델로 부처 간 칸막이 제거 및 정책 통합 추진
- 채용 지원부터 재취업 연계까지 중소기업 맞춤형 종합 지원 전략 전개 https://youtu.be/mtLN_mWwdlE
중소기업의 만성적인 인재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본격적인 협업 체계를 가동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고용노동부는 4월 15일, 부처 간 전략적 협력 강화를 위해 ‘전략협업 협의체’를 정식 출범하고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위한 실효성 있는 인력 지원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이번 협의체는 2025년 1월부터 시작된 국·과장급 인사교류를 기반으로, 부처 간 업무 장벽을 허물고 실질적인 정책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기획됐다. 협업의 중심은 현장 중심 채용 지원, 재취업 유도, 기업 인력 애로 해소 등 세 가지 핵심 분야에 맞춰 설정되었다.
협의체에서 논의된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우수 중소기업 채용 연계 확대
중기부와 고용부는 공동으로 ‘참 괜찮은 강소기업’을 발굴하고, 고용센터를 통한 채용 연계 및 맞춤형 컨설팅 제공으로 구직자 매칭을 강화할 계획이다. - 폐업 소상공인의 재취업 연계 지원
중기부가 운영 중인 ‘희망리턴패키지’ 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고용부의 ‘고용촉진장려금’과의 연계를 통해 신속한 노동시장 복귀를 유도한다. - 기업 인력 지원 서비스 통합
중기부의 ‘기업인력애로센터’와 고용부의 ‘기업도약보장패키지’를 연계 운영하여, 기업 맞춤형 인재 매칭과 애로 해소에 시너지 효과를 도모한다.
양 부처는 연내 실행 가능한 협업 과제들을 구체화하고, 매월 정기 회의를 통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제도 보완을 병행할 예정이다.
중기부 김우중 정책기획관은 “이번 협의체는 정부가 현장의 수요에 기반해 문제를 풀어가는 새로운 시도”라며 “중소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인력 지원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정경훈 노동시장정책관 역시 “협업을 통해 기업과 구직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고용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중소기업인력난 #정부정책 #중기부정책 #고용부정책 #중기부고용부협업
#전략협업협의체 #중소기업채용지원 #소상공인재취업 #정부고용지원
#희망리턴패키지 #고용촉진장려금 #기업인력애로센터 #기업도약보장패키지
#정부협업정책 #공공행정협력 #중소기업인력지원 #정책통합운영
#부처협업모델 #중소기업지원정책 #청년일자리창출 #현장중심행정
#중기인재연계 #기업맞춤지원 #중소기업정책뉴스 #중소기업재도약
#구직자맞춤정책 #고용안정화 #소상공인지원정책 #중소벤처부 #고용노동부
#중소기업인재난해결 #정부일자리정책 #폐업소상공인지원 #정부일자리매칭
#강소기업인재매칭 #기업고충해결 #현장밀착정책 #부처간시너지 #중기부성과
#정부협업우수사례 #정책브리핑 #인사교류정책 #행정협업체계 #정책시행과제
#지속가능한고용정책 #정부협력강화 #맞춤형고용지원 #정책성과관리
#중소기업뉴스 #중소기업일자리